아사히신문 기사를 번역기로 번역한 포스팅입니다.
원문 기사는 아래의 링크를 확인하세요.
http://www.asahi.com/articles/ASRB44K9XRB3ULLI00D.html?ref=rss
- 작성일 : 2023-10-05T17:00:00+09:00

「어린이 기본법」이 2023년 4월에 시행되어 아동의 권리와 청년의 정치·사회 참여가 주목받게 되었다.
「어린이 시책을 사회 전체에서 종합적이고 강력하게 추진해 나가기 위한 포괄적인 기본법」(어린이가정청)인 동법에서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어린이·청년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정부, 지방자치단체에 의무화되어 있으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어린이·청년의 목소리를 듣는 사업이 시작되고 있다.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식인회의에 20대 젊은이들이 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변화는 확실히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에서 자녀의 권리가 존중되고 젊은이들의 의견이 소중한가 하면 고개를 갸웃거릴 수밖에 없다.왜? 「패터널리즘」의 정신이 사회에 뿌리 깊게 남아 있는 것에 가세해 젊은이 정책이나 아이의 권리를 생각할 때에, 「영향력」이라고 하는 키워드가 빠져 있기 때문이다.
패터널리즘이란 권력 있는 어른(가부장)이 아이를 위한다고 생각해 대신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다.아이를 위해서, 가곡자인 것이다.사실 어른들은 아이들의 의견을 듣지 못했다.아이는 미숙하고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없다는 믿음이 바탕에 깔려 있다.
이러한 「지원·보호」의 대상으로서의 아동상이 뿌리 깊게 남아 있기 때문에, 어른이 발언을 허가했을 경우에는 의견을 들을 수 있지만, 어른이 상정하지 않은 장소에서의 발언은 기대되고 있지 않다.
가장 큰 예가 선거와 사회운동 때 어른들의 반응 차이다.
예를 들면, 중의원 선거가 행해진 2021년에는 젊은이에게 투표를 호소하는 캠페인이 많이 볼 수 있었던 한편, 같은 시기에 개최된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회의 「COP26」(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회의)에 맞추어 젊은이들이 길거리에서 기후변화 대책의 강화를 호소한 활동에는 많은 때리기가 있어 마음을 앓은 젊은이도 있다.
최근에는 비판이 두려워 고개를 숙이고 기자회견에 나서거나 취업준비에 악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이름을 밝히지 않고 활동하는 젊은이도 늘고 있다.
이렇게 선거가 다가오면 낮은 투표율을 이유로 젊은이들아 선거하러 가자고 어른들은 젊은이들에게 말한다.후보자나 공약, 투표 장소 등 어른들이 마련한 선거에는 자꾸만 참여를 독려하는 것이다.그리고 젊은이들이 투표하러 가지 않으면 그래서 젊은이들을 위한 정책은 경시되는 것이라며 현 상황을 긍정해야 한다.
그런데 정치를 더 좋게 하기 위해 더 권한이 큰 후보자에게 젊은이가 되려고 하면(피선거권 연령 인하를 주장한다) 아직 이르다고 부정당한다.자발적으로 시위를 기획하고 거리에서 목소리를 높이면 학생은 공부하라 사회인이 돼 바꾸자 투표하러 가라는 호되게 얻어맞는다.나아가 뒤에 있는 어른들에게 조종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발언의 배경에는, 젊은이는 미숙하고, 권리의 주체가 아니라, 지원·보호 대상이라고 간주하는 시선이 있다.「지원·보호」대상으로서의 아동상의 연장선이다.이리하여 어른으로부터의 「기대」에 맞춘 행동을 하는 젊은이가 증가한다.스스로 생각하지 않고 어른의 시선을 항상 신경 써서 행동을 결정한다.
연구 결과를 봐도 규범 의식을 익히는 젊은이는 늘고 있어, 「교칙을 지키는 것은 당연하다」라고 대답하는 고교생은 증가 경향에 있다고 한다(히라노 타카노리 2015 「규범에 동조하는 고교생」).
또, 나카무라 타카야스·도쿄대 교수등이 실시한 조사(2020년, 각 도도부현의 고교생 남녀 합계 약 3천명을 대상으로 실시)에 의하면, 중학교 3 학년의 약 80%가 내신(조사서)을 의식해 학교 생활을 보내고 있다.학생회 임원에 입후보한 학생 중 내신을 의식해 입후보한 학생의 비율은 73.3%에 달했고 동아리 활동 부장부부장도 76.4%가 내신을 의식해 입후보했다.
스스로 결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실제로는 결정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이래서야 주체적으로 사회정치에 참여하는 젊은이가 자랄 리 없다.
또 하나 중요한 키워드가 영향력이다.
현재 중간정리 중인 어린이 대강안에는 영향력이라는 단어가 들어있지 않다.그러나 유럽의 청년정책 문장에는 반드시 영향력 혹은 임파워먼트라는 말이 들어 있다.어린이와 젊은이들의 목소리를 듣는 이유는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다.
어린이나 젊은이 자신의 일, 속해 있는 사회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의견을 듣는다(자기결정권과 민주주의). 이는 어린 시절부터 의식되어 왔으며 스웨덴 유아교육의 기본방침에는 '어린이의 참여와 영향력'이라는 항목이 있다.
요점은 참여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영향력을 주지 않고서는 의미가 없기는커녕 오히려 폐해마저 있다.모양상으로는 참여하고 있어도 영향력을 주지 못하면 나는 힘이 없다는 식으로 배우고 목소리를 높이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학습성 무력감).
유감스럽게도 일본의 현 상황은 이미 그렇게 되었다.
내가 대표이사로 있는 일본청년협의회가 800여 명의 고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학생들이 목소리를 높여 학교가 바뀔 것 같습니까?라는 질문에 약 70%의 고교생들이 (어느 쪽인가 하면)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유는 (학생회) 후보자가 여러 차례 교칙을 바꾸겠다고 했지만 달라진 것은 없다(돗토리현 사립고 학생), 실제로 학교에 진정한 적이 있어 수용하겠다는 답변을 받았지만 나중에 거의 대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나라현 사립고 학생), 어떻게든 바꾸고 싶다는 요청을 하고 목소리를 낸다고 해도 그건 어쩔 수 없다.학생이니까」라고 마치 받아주지 않으니까」(치바현·국공립중학교 학생) 등.학교 안에서 목소리를 높여온 경험에서 이런 감각에 빠져 있는 모습이 엿보인다.
「참가」한 것이, 사회에 대한 참가 의욕이 증가하기는커녕, 반대로 마이너스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원래 일본에서는 중요한 목적이 빠져 있기 때문에, 정부가 실시하는 어린이나 젊은이의 의견을 듣는 사업도, 앙케이트나 청취라고 하는 영향력이 작은 사업인 경우가 많다.작은 회의에는 젊은이들이 들어가 있어도 중요한 회의(관저나 중앙심의회)에는 들어가지 않은 것이다.학교에서도 교칙에 대한 의견은 물어도 학교 수업 방침이나 성적 매김 등에 대해서는 결코 묻지 않는다.
젊은이들이 진정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려면 큰 방침을 정하는 중요한 회의에 들어가 있어야 한다.그러나 실태는 그렇지 않다.
이것에 비해, 구미에서의 젊은이의 참가는 크게 다르다.스웨덴에서 FFF(Fridays For Future) 시위에 참가했을 때 길가에 있던 어른들이 박수를 치며 응원하는 풍경에 놀랐지만 해외에서는 젊은이들이 사회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투표와 마찬가지로 권장(당연시)되고 있다.
교육을 통해 정치 참여 수단은 결코 하나가 아니며 다양한 수단이 있음을 시위 로비 등 구체적인 방법을 포함해 가르치고 있기 때문이다.학교를 쉬고 데모에 참가하는 것도 권장되고 있다(공결 취급이 된다).
공부는 학교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다.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사회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영향력이라는 점에서 보면 고교생 때부터 교육위원회나 중앙심의회에 들어간 경우는 드물지 않으며(프랑스에서는 미리 중앙교육심의회에 4명의 고교생 정원이 설치돼 전국 조직에서 선출된다) 일상생활에서도 항상 자신의 의사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스웨덴에서는 새롭게 법률을 제정할 때는 반드시 법안에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합의를 얻는 프로세스가 확립되어 있다(레미스 제도). 청년에 관한 정책을 통과할 때는 청년단체가 논의에 참여하여 정책결정에 관여하고 있다.
자원이 부족한 젊은이라도 사회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청년단체에 고액의 경제적 지원을 실시하기도 한다.스웨덴에서는 어린이·청년단체에 한정해 연간 약 45억엔의 지원금이, 핀란드에서는 청년 일자리를 위해 연간 94억엔 정도의 지원금이 정부에서 나오고 있다.
물론 돈은 내도 활동 내용에 참견하지 않는다.지원·보호 대상이 아니라 권리의 주체로서 어린이·청년을 보고 있기 때문에 주체성을 존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관되게 젊은이에게 영향력을 주기 위해 청년정책을 정비하고 있는 구미와 달리 일본은 이 생각이 철저히 빠져 있다.그리고 어른들이 기대하는 행동을 하도록 젊은이들에게 요구한다.결과적으로, "공기"를 읽고, 권력자에게 헤아려, 주위와 동조하는 어른이 자란다.
스스로 사회 과제를 해결하는, 자녀의 권리를 중시하고, 젊은이를 임파워먼트하듯 바꿔야 한다.일본에 진정한 민주주의가 뿌리내리는 한 걸음은 거기서 시작된다.(일본청년협의회 대표이사 무로하시 유키=기고)
무로하사키 1988년 가나가와현 출생.일본 청년 협의회 대표이사게이오기주쿠 대학 경제학부 졸업. 동 대학 정책·미디어 연구과 석사 과정 중퇴.대학 재학중부터 IT계 스타트업이나, 경제 미디어의 기자로서 활동.문부과학성 「고등교육의 수학 지원 신제도의 본연의 자세 검토 회의」위원.월간 「시오」, 교육신문등에서 연재중.
◇
Re:Ron(리롱)은 10월 8일에 토크 라이브 「국회 통신부 리턴 Z~초세대 도넛 토크」를 온라인으로 개최, 젊은이의 정치 의식, 정치 참여의 본연의 자세에 대해 생각합니다.평화 교육 퍼실리테이터 카리마타 히히메씨, Poli Poli 대표 이토 카즈마씨의 20대의 2명과, 미쿠리야 타카시, 마츠바라 류이치로의 양대 명예 교수에 의한 「도넛 토크」(이도가타 회의). 꼭, 봐 주세요.신청은 이쪽→https://ciy.digital.asahi.com/ciy/11012165
'아사히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사히신문] 일신문협회 "뉴스플랫폼 진지한 협의 요구" (2) | 2023.10.05 |
---|---|
[아사히신문] 참의원 도쿠시마 고치선거구 보선 고시 2명 입후보 여야 대결 구도로 (1) | 2023.10.05 |
[아사히신문] 버추얼 고교야구에서 국체를 라이브로 전달한 센다이육영과 게이오의 결승재전도 (2) | 2023.10.05 |
[아사히신문] 총리 관저에는 NG 리스트 「존재하지 않는다」쟈니즈 회견 둘러 관방장관 (1) | 2023.10.05 |
[아사히신문] 銀座 상징 사상 첫 변형 세이코 시계탑 미키 등장 (1)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