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기사를 번역기로 번역한 포스팅입니다.
원문 기사는 아래의 링크를 확인하세요.
https://www.bbc.co.uk/news/world-australia-67110193
- 작성자 : Hannah Ritchie , Sydney
- 작성일 : Sat, 14 Oct 2023 12:48:29 GMT

호주는 헌법에 원주민을 인정하는 획기적인 국민투표를 결정적으로 거부했습니다.
그 제안서는 또한 그들의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에 대해 정부에 조언하기 위한 퍼스트 네이션 기구를 설립하려고 했습니다.
찬성론자들은 역사적인 변화의 기회라고 비난한 반면, 어떤 운동가들도 이 투표가 분열적이라고 비난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는 몇 달 동안 계속된 격렬한 논쟁의 끝을 의미합니다. 일부 사람들은 공포가 영구적인 상처를 남길 수도 있습니다.
정신 건강 제공자들에 따르면,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들을 향한 인종 차별적 학대에 대한 보고가 캠페인 기간 동안 급증했습니다.
그리고 잘못된 정보와 잘못된 정보가 널리 퍼지면서 호주가 "탈 진실" 정치 시대로 접어들 수 있는지에 대한 논평을 촉발시켰습니다.
거의 1,800만 명의 사람들이 투표에 등록을 했는데, 그 중 6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조기 투표를 했고, 많은 사람들이 처음으로 국민 투표에 참여했습니다.
호주 동부 해안에서 여론조사가 마감된 지 1시간 반도 안 돼 전국의 투표장에서 개표가 진행되면서 최종 결과는 모든 주와 국민투표에서 '아니오'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초 국민투표를 소집한 앤소니 알바니즈 총리는 대국민 연설에서 투표와 "그것을 전달한 민주적 절차를 존중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지금 이 순간의 불일치가 우리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우리를 분열시키지도 않을 것이며, 우리는 '찬성' 유권자도 아니고 '아니오' 유권자도 아니며, 우리는 모두 호주인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함께하는 것은 호주인으로서, 우리가 왜 이런 논쟁을 벌였는지를 잊지 않고 이 논쟁을 넘어서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에서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들이 직면한 불이익이 한계로 밀려난 경우가 너무나 많으며, 이번 국민투표를 통해 우리 정부는 이 문제를 바로 중심에 두었습니다."
하지만 예스 캠프의 일부 사람들에게는 그 참상이 눈에 띕니다.
"우리의 원주민 지도부는 이것을 위해 스스로를 노력했습니다... 우리는 부정직하고 호주 국민들에게 거짓말을 한 역겨운 노 캠페인을 보았습니다"라고 예스의 옹호자 토마스 메이요가 ABC에 말했습니다.
에루바멜레 토레스 해협 섬 주민인 카우라렉 원주민과 칼칼갈은 "호주 국민을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거짓말을 한 사람들을 비난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보이스가 공식 팜플렛에 등장하는 것에 대한 여러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노 캠페인은 제안에 대한 거짓 정보를 고의로 퍼뜨렸다는 비난을 일축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캠프에게는 축하의 날이었습니다.
"이것은 원주민들이 목소리를 내지 못한다는 거짓말에 기초했기 때문에 우리가 하지 말았어야 하는 국민투표입니다"라고 노 옹호자이자 분잘룽의 대표인 워렌 먼딘이 말했습니다.
"저는 호주 전역에서 원주민들을 위한 실질적인 결과를 원하고, 정부가 일을 망치는 것에 넌덜머리가 나며, 이를 고치길 원하고,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들이 헌법에 인정받기를 원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번 국민투표는 호주가 창립 문서를 변경하려는 시도를 45번째로 한 것이지만, 단지 8개의 제안만이 승인되었습니다. 또한 원주민 인정 문제가 국민투표에 부쳐진 것은 이번이 두 번째였는데, 마지막 시도는 1999년이었습니다.
목소리 토론 내내, 양측은 나라의 미래에 대해 경쟁적인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예스' 캠페인의 핵심은 '보이스'가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들의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에 대해 각국 정부에 조언하기 위해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 단체를 설립하려고 하는 것인데, 이 단체는 그들의 국민들이 여전히 직면하고 있는 '고립된 불평등'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호주 원주민들의 자살률은 호주 원주민이 아닌 사람들의 자살률의 거의 두 배에 달합니다. 그리고 호주 인구의 4% 미만을 대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호주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들은 전체 죄수의 32%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노 측에서는 다르게 봤습니다.
이 단체의 운동가들은 보이스가 성공할 경우 "다양한 계층의 시민권"과 특별한 권리를 경고하며 분열을 촉발시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것은 모든 호주인들이 평등하지만, 어떤 호주인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평등한 오웰리안 효과를 가질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가 되는 대신, 정신적으로 그리고 법적으로 분열될 것입니다"라고 야당 지도자인 피터 더튼이 선거 운동의 시작에서 말했습니다.
미국의 최고 헌법학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주장에 반박하면서, 미국의 소리가 그 누구에게도 특별한 권리를 부여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수막과 포스터를 금지한 캠페인의 슬로건인 "분열적인 목소리"는 결국 유권자들에게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더튼은 기자회견에서 "국민투표가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은 분명하며, 저는 그것이 우리나라를 위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는 호주가 가질 필요가 없었던 국민투표"라며 "오늘 밤 수백만 명의 호주인들이 총리의 분열을 초래하는 국민투표를 거부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원주민 상원의원 리디아 소프와 원주민이 운영하는 블락 소버린 운동이 주도하는 보다 "진보적인" 노(No) 운동은 서로 다른 이유로 보이스에 반대했습니다.
그들은 대신 퍼스트 네이션스 국민들과 호주 정부 사이의 법적 구속력 있는 조약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이것은 우리의 헌법이 아니며 1901년에 한 무리의 오래된 백인 동료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지금 우리는 사람들에게 우리를 그곳에 넣어달라고 요청하고 있습니다."라고 토요일의 결과에 반응하며 소프씨는 말했습니다.
예스 행사에서 눈물과 침묵의 장면이 언론에 넘쳐나자 토론장 곳곳에서는 먼지가 가라앉는 동안 국민통합과 성찰의 시간을 가질 것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초기 여론조사에서 '보이스'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보여준 호주 최초 주민들의 경우, 주민투표가 또 다른 부결로 비칠 수 있다고 옹호자들은 우려하고 있습니다.
호주 원주민 상원의원 말라르디리 매카시의 차관보는 "오늘 밤 우리나라가 다르게 비춰지기를 열망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으며, 이는 깊이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수십 년과 수세기에 걸쳐 많은 실망을 겪었고, 우리는 정말로 회복력이 있는 사람들이며, 우리는 주식을 가질 것입니다"라고 Yanyuwa 여성은 덧붙였습니다.
'B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BBC] BBC, 가자지구 탈출 팔레스타인인 살해 동영상 확인 (0) | 2023.10.15 |
---|---|
[BBC] 자카: 이스라엘의 죽은 자들에게 존엄성을 주는 자원봉사자들 (1) | 2023.10.15 |
[BBC] 크리스 메이슨: SNP 지도자 험자 유사프, 정치적 역풍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1) | 2023.10.14 |
[BBC] 뉴질랜드 선거: 국민당 크리스 룩슨 당선 (1) | 2023.10.14 |
[BBC] 북한, 러시아에 군사장비 보내 미국 주장 (0) | 2023.10.14 |